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2025 국가공무원 장기재직휴가 총정리! 10년 이상 근무 시 최대 7일 특별휴가

by backmioflife 2025. 4. 17.

국가공무원을 위한 복지제도가 한층 더 강화되었습니다.

2025년부터 10년 이상 재직한 국가공무원에게 최대 7일의 ‘장기재직휴가’를 부여할 수 있도록 공무원 복무 규정을 개정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기재직 휴가 부여기준, 신청조건, 절차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기재직휴가란?

장기재직휴가는 일정 기간 이상 공직에 재직한 공무원에게 유급으로 부여되는 특별휴가입니다.

이번 개정으로, 10년 이상 근속한 공무원은 아래 기준에 따라 장기재직휴가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025년 기준 장기재직휴가 부여 기준

재직 연수 장기재직휴가 일수
10년 이상 20년 미만 최대 5일
20년 이상 최대 7일

※ 해당 휴가는 연차휴가와는 별도로 부여되며,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조건 절차는?

  1. 재직기관장이 필요성을 인정할 경우 부여 가능
    휴가의 성격상 업무 공백을 고려하여, 기관장의 재량이 작용됩니다.
  2. 사용 시기는 근무지 사정 고려해 조율
    특정 프로젝트나 기말 업무 등과 겹치지 않도록, 팀 내 조율이 필요합니다.
  3. 서면 신청 후 승인 절차 진행
    일반적인 연차 신청과 유사하나, 장기재직휴가는 별도 양식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장기재직휴가 도입 배경

이번 제도는 공무원 조직 내 '장기근속 피로도'를 줄이고,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인재가 지속적으로 조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하기 위한 목적이 큽니다. 특히 MZ세대 공무원 증가로 인해 유연하고 실질적인 복지정책이 중요해지면서 도입이 가속화되었습니다.


장기재직휴가의 기대효과

  • 공무원의 번아웃 예방 및 직무만족도 향상
  • 장기 재직자에 대한 공적 인정 및 보상 기능
  • 조직 내 세대 간 복지 형평성 확보

마무리

2025년부터 적용되는 국가공무원 장기재직휴가는 연차와 별도로 부여되는 특별휴가로, 본인의 휴식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제도입니다. 10년 이상 성실하게 근무하신 공무원이라면, 적극적으로 활용을 검토해보세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공무원에도 유사한 제도 도입이 검토되고 있어, 추후 변화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