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성장성 지표인 매출 증가율, 영업이익 증가율, 주당순이익 증가율, 미래 PER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주식 투자에서 '성장성'이란?
성장성이란 한 기업이 앞으로 얼마나 더 커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뜻합니다.
투자자들은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면 미래 주가 상승에 따른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성장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투자 기준 중 하나입니다.
주식 투자 전 꼭 확인해야 할 성장성 지표 4가지
1. 매출 증가율 (Revenue Growth Rate)
공식: (금년 매출 - 전년 매출) ÷ 전년 매출 × 100
의미: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서 잘 팔리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시:
삼성전자 매출이
- 2023년: 250조 원
- 2024년: 275조 원이라면,
→ 매출 증가율은 **(275-250)/250 × 100 = 10%**입니다.
🟡 Tip:
지속적인 매출 증가 = 시장 점유율 확대 or 신규 사업 성과
2. 영업이익 증가율 (Operating Profit Growth Rate)
공식: (금년 영업이익 - 전년 영업이익) ÷ 전년 영업이익 × 100
의미: 본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이 얼마나 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예시:
카카오의
- 2023년 영업이익: 5,000억 원
- 2024년 영업이익: 6,500억 원
→ 증가율은 **30%**입니다.
🟡 Tip:
영업이익이 빠르게 늘고 있다면, 비용을 줄이거나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3. EPS 증가율 (주당순이익 성장률, Earnings Per Share Growth)
공식: (금년 EPS - 전년 EPS) ÷ 전년 EPS × 100
의미: 한 주당 순이익이 얼마나 증가했는지 파악 가능.
예시:
네이버의
- 2023년 EPS: 3,000원
- 2024년 EPS: 3,600원
→ 증가율은 **20%**입니다.
🟡 Tip:
EPS 증가 = 기업의 실질적인 수익력이 높아졌음을 의미.
주가 상승 가능성도 ↑
4. 미래 PER (Forward PER)
공식: 현재 주가 ÷ 예상 주당순이익(EPS)
의미: 앞으로 벌어들일 이익 대비 주가가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알려주는 지표
예시:
- 현재 주가: 100,000원
- 내년 예상 EPS: 10,000원
→ Forward PER = 10배
🟡 Tip:
성장주라면 Forward PER이 조금 높아도 감안할 수 있음.
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경우, 미래 기대가 과도할 수 있어요.
성장성 분석 시 함께 고려하면 좋은 요소들
- 산업 성장률 (예: 전기차, AI, 클라우드 등)
- 신규 시장 진출 여부
- R&D 투자 비중
- 고객 수 or 거래량 증가 추이
주식 성장성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성장성 높은 기업은 언제 투자해야 하나요?
A. 초기 성장 국면이 시작되는 시점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다만 실적이 가시화되기 전에는 리스크도 큽니다.
Q2. PER이 높으면 무조건 안 좋은 건가요?
A.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성장성이 높으면 PER이 높아도 주가가 더 오를 수 있습니다. PER만 보지 말고 성장성 지표와 함께 보세요.
결론: 성장성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이유
성장성 지표는 단기 수익보다 장기적으로 주가가 오를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신규 산업이나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는 기업은 미래 유망주로 떠오를 수 있어요.
이런 기업을 미리 발견해 투자하는 것이 바로 '성장주 투자'의 핵심입니다.